나는 2022년 2월 쯤 큐시즘에 지원해서 합격한 후
3월~ 5월까지 큐시즘 활동을 열심히 수행, 현재 수료 완료한 상태이다.
서류 지원부터 학술회까지 전반적으로 한 번 쭉 그동안의 활동을 되짚어보려고 한다.
1. 서류 지원
지금 지원서를 보고 있지 않아 정확하진 않지만 서류 자체는 작성이 어렵지 않았다.
아무래도 대학생들이 모여서 진행하는 학회다보니 그렇게까지 높은 수준을 바라지는 않는 것 같다.
자신이 얼마나 지원하는 부서에 욕심이 있으며 열정적인지를 어필하는 것이 중요해보인다.
어떤 결과를 냈다 보다 어떤 경험을 했다를 적으면 좋을 것 같다.
2. 면접
25기 말고 24기를 수료한 지인이 있어 물어보니 그때는 정말 면접때 개발 쪽 질문이 하나도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완전 자소서 기반 질문이었다고.
내가 면접 봤을때는 조금 달랐다. 기초적인 수준의 sql을 물어봤고, 그 내용은 무난하게 답변했으나
안드로이드 쪽 질문이 나와서 그 부분은 내 스택이 아니라 정확한 답변은 어렵지만 이런 거라 알고있다 라고 대답했었다.
아마 안드로이드 프로젝트가 하나 있어서 그런것 같다.
어려운 질문은 안하니까 나 처럼 완전 마음 놓고 있다가 당황하는 상황만 아니면 무난하게 지나갈 것 같다.
그리고 면접관들이 정말 많이 들어온다. 면접자는 둘인데 면접관은 6명이 넘는다.
질문하는 사람은 넷~다섯정도고 나머지는 참관이라고 한다.
그리고 각자 맡은 채점 분야가 다르다고 한다. 한명은 전문성, 한명은 열정, 한명은 스케줄 등등..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3. 기업프로젝트
합격하자마자 거의 다음주 정도에 기업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2주의 시간을 주고 기업에서 낸 과제를 수행하는 프로젝트이다.
나는 여행을 간 상태로 정신없이 기업 프로젝트 신청서를 작성해서 냈더니 개발(심지어 node.js)프로젝트를 하게 되었다.
정말 막막했지만,, 그래도 다른 분들이 하시는걸 보면서 얼추 1인분을 해냈다.
node.js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확실히 spring 보다 개발이 빠르고 유동적이라고 느꼈다.
4. 세션
매주 세션이 진행된다. 기획 개발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강의를 듣는데 넓고 얕게 경험할 수 있어서 좋았다.
하지만 해당 주의 세션 주제가 정말 관심이 없는 것일때도 있는데 이때는 이겨내야 한다!
그리고 종종 전 기수 사람들이 와서 강의를 해주는데 이 부분이 정말 유익하다.
큐시즘의 특 장점은 바로 대형 학회이고 연합 동아리이기 때문에 수 많은 사람들이 큐밀리였다는 점인거같다.
5. 스터디와 소모임
스터디와 소모임 참여는 자율이다.
그러나 꼭 드는 것을 추천한다! 초반에 다른 사람들과 친해지는 것도 재밌고, 모여서 한가지 주제에 대해 공부하는 것도
유익하다. 그러나 큐시즘 스터디 특,, 중간고사 시즌이 지나면 확 참여도가 낮아진다.
그래도 꼭 참여해서 끝까지 열심히 하자!
6. 학술회
학술회는 약 1달 반 정도의 시간동안 진행 된다.
그러나 기획부터 기획 수정, 와이어프레임 작성, 개발, 시연 과정을 모두 합친 시간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개발에 주어진 시간은 대략 2주 반 정도이다.
기업 프로젝트 기간 너무 적다 얘기가 나왔었는데 따지고 보면 학술회도 뭐,, 전반적으로 학업과 병행해서 하기에는
기간이 좀 짧은 감이 있다. 그래서 너무 바쁜 사람은 큐시즘을 하지 않았으면 한다.
그리고 어떤 성향의 사람들과 팀을 이루는가도 중요하다. 팀은 운영진들이 짜주는데,
자신이 할 수 있는 스택을 작성해서 내면 그 것을 보고 짜준다. 그러니까 하고 싶은 분야가 있다면
다른 스택이 가능해도 그 부분만 할 수 있다고 적어서 내야한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팀들이 내는 결과물은 무난한 대학생 수준이다.
막 혁신적이고 유행하는 무엇을 썼고 그러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개발하는 사람들이 부담 가질 필요는 없어보인다.
그리고 학술제 발표 날 서버가 안되서 시연 영상으로 시연을 대체한 팀이 좀 많았다..
개고생해서 만들었을텐데 시연조차 못했다는 사실이 마음이 아프다.
다행히 우리 팀은 문제없이 시연이 되었고 수상했다!(상금이 있긴 하지만 무척 적다)
총 정리
기획팀 디자인팀 개발팀이 협업해서 하나의 프로젝트를 만드는 경험은 쉽게 할 수 없는 유익한 것이다.
그리고 학술제 심사도 전문가 분들을 초청해서 하기 때문에 정말 묵직한 조언을 얻을 수 있다.
대학생이라면 큐시즘을 추천한다!
다만 어느 정도 프레임 워크를 쓸 수 있다면 그 프레임워크 관련 새로운 내용을 배우기엔 무리가 있기 때문에 1~3학년들에게 특히 추천한다. ( 1학년은 경험이 없어 잘 뽑지 않는 걸로 알고있지만)
4학년 정도의 대학생들은 코딩 테스트 준비에 올인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인거같다.
나는 4학년이었지만 누가 세팅해놓은 프로그램에서 코딩만하다가 직접 세팅부터 끝까지 주관한 좋은 경험을 했기 때문에 만족한다.
즐거웠다 큐시즘!
'대외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야 놀자 대학생 멘토 서류 지원과 합격! (0) | 2021.12.17 |
---|---|
ICT인턴십 면접 후기와 합격! 인턴 등록 방법 (0) | 2021.12.15 |
ICT인턴십 지원방법과 서류 합격! (0) | 2021.12.15 |
2021 소프트웨어야 놀자 대학생 멘토 선정! (0) | 2021.12.14 |
멋쟁이 사자처럼 면접 합격 후기 (0) | 2021.12.12 |